출시를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학생으로서, 그동안 대학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AWS 관련 비용을 충당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팀원 대부분이 졸업을 앞두고 있어, AWS 비용이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AWS 인프라를 재구성하기로 결정했으며, 목표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시도한 방법은 NAT Gateway를 NAT Instance로 대체하는 것이었습니다.
NAT Gateway
AWS에서는 Private Subent 내의 인스턴스가 VPC 외부의 서비스(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게 해주는 NAT Gateway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vpc/pricing/
그러나 NAT Gateway의 요금은 어마무시합니다.
t2.micro 인스턴스 요금의 약 5배입니다. 정말 비쌉니다.
그렇다고, 보안 때문에 Public Subnet에 인스턴스들을 위치시킬 수도 없습니다.
NAT Instance
NAT Instance는 EC2 Instance를 NAT용으로 설정해 사용하는 기술로 NAT Gateway보다 요금이 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NAT Gateway보다 안 좋은 가용성과 대역폭 그리고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있습니다.
아래는 AWS 공식 문서로 NAT Instance와 NAT Gateway를 상세히 비교하고 있습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userguide/vpc-nat-comparison.html
하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비용이 최우선 과제였기 때문에 주저없이 NAT Instance를 도입하였습니다.
NAT Insatance 구축
NAT Instance 구축하는데 아래 블로그의 도움을 많이 받아 이로 대체하겠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AMI를 선택할 때 커뮤니티 AMI를 선택해야합니다. 처음에 커뮤니티 AMI를 선택해도 후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선택하면 커뮤니티 AMI가 아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느낀 점
제한된 비용 안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낼 수 있도록 최적의 솔루션을 고민하는 것이 즐거웠고, 더 좋은 솔루션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스터디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Private Subnet이 필요한가? (feat : 보안 그룹) (1) | 2024.11.18 |
---|---|
S3 퍼블릭 엑세스 차단을 활성화하면서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 Pre-Signed-URL (0) | 2023.12.03 |
네트워크 기본 학습 - IP, NAT, 포트 포워딩 (0) | 2023.11.26 |
TCP/IP란? (2) | 2022.11.12 |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