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ostman에서 토큰 자동 설정하는 방법
    스터디/Web 2023. 5. 14. 20:57
    728x90

    불편한 점

     

    로그인 후에 토큰이 발급되면, 발급된 토큰을 Header에 담아 매 요청마다 각 Header Authorization에 수동으로 넣는 것은 너무나 불편했다. 

     

    개선한 점

     

    환경변수에 token을 생성하여 새로운 토큰이 올 때마다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설계했다.

     

    아래는 그 방법을 정리한 것들이다.

     

     

    1. 먼저 로그인 -> [Tests] 탭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해준다.

     

    if(pm.response.code === 201){
        pm.environment.set('authToken', pm.response.headers.get("Authorization").substring(7));
    }

    저는 Http의 상태코드가 201일 때 응답의 헤더의 Authorization의 문자열을 authToken에 저장하였습니다.

     

    2. 환경변수로 인증을 만들어 환경변수에 세팅해준 변수값(여기서는 authToken)을 등록해줍니다.

     

    3. 다음으로, Collections의 각 요청 또는 Collections에 [Edit] -> Authorization - >Type을 설정해준다!

     

    저는 Bearer Token Type을 설정하였고, 환경변수로 설정해둔 것을 Token에 입력해줍니다.

     

     

    위 방법을 거치면 수동으로 token을 등록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토큰을 자동 주입할 수 있습니다.

     

     

    728x90

    '스터디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큰을 사용한 인증과 인가  (0) 2023.07.10
    토큰을 사용하는 이유  (0) 2023.07.03
    JWT에 대하여  (0) 2023.03.31
    HTTP 란 무엇일까?  (0) 2022.11.14
    Rest와 Rest API에 관하여  (0) 2022.10.3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