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2

엔티티의 통합과 분리의 기준이 뭐야?? 도토링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여러 아쉬웠던 점이 있었지만, 그 중 순위권 안에 드는 것은 단연코 설계할 시간이 너무나도 부족했던 것이다. 카카오 테크 캠퍼스와 동아리 프로젝트를 같이 병행하다 보니.. ++ 캡스톤까지 다 변명이야 8월 초에는 도토링의 DB 설계부터 단단히 다져볼 생각이다. 이와 관련하여 처음으로 포스팅할 주제는 엔티티 타입의 통합과 분리이다. 엔티티타입의 통합과 분리는 어떤 기준으로 하는 걸까?? ‘아는 만큼 보이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구축’이라는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말한다. 엔티티타입의 통합과 분리는 단순하게 엔티티타입의 모습만을 보고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의 대상이 되는 업무 패턴을 이해한 후에 업무의 트랜잭션의 패턴을 분석한 후에 엔티티의 통합과 분리를 결정하여라! 도토링 프로.. 2023. 8. 4.
OSIV(Open Session In View) default 값을 사용해야할까? OSIV에 대해 공부하면서, 기본 설정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에 관해 정리하여 포스팅을 작성하려고 합니다.OSIV란OSIV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View 영역까지 열어두는 기능입니다. 즉, View Layer에서도 LazyLoading으로 엔티티를 조회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OSIV ture일 경우 (default) OSIV 전략은 트랜잭션이 시작되는 시점, 즉 최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생성될 때부터 API 응답이 완료될 때까지 영속성 컨텍스트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View Layer에서 지연 로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View Layer에서는 트랜잭션 범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엔티티를 수정해도 쿼리가 발생하지 않습.. 2023. 7. 31.
private 메서드는 트랜잭션 처리를 할 수 없는 이유 의문 private 메서드는 @Transactional을 적용할 수 없다. 뭔가 예상이 가지만 그래도 한번 알아보자!! 먼저 @Transactional 부터 살펴보자! @Transactional 평소에 저희가 자주 사용하는 @Transactional에는 AOP가 적용되어있습니다. 이를 스프링 트랜잭션 AOP라고 합니다. 스프링 트랜잭션 AOP는 @Transactional이 붙여진 메서드가 실행되기 전에 begin을 호출하고 메서드가 종료한 뒤에 commit을 호출합니다! 어떻게 할 수 있는 걸까요?? 답은 프록시입니다!! Spring에는 두가지 프록시 구현체가 있는 데 Springboot에서는 CGLIb를 사용하기 때문에 CGLIb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아래는 에코노베이션 동아리에서 진행중인 도토링.. 2023. 7. 26.
메서드가 연속으로 실행된다면, 트랜잭션이 중첩되어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고 계속 수정되는 거 아냐?? 에코노베이션이라는 동아리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메서드가 연속으로 실행되면, 트랜잭션이 중첩되어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고 계속 수정되는 거 아냐??"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이 생각에 대한 과정과 그와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스프링의 기본 전략을 알아야한다. 스프링의 기본 전략은 트랜잭션 범위의 영속성 컨텍스트 전략, 즉 트랜잭션의 범위와 영속성 컨텍스트의 범위가 같다는 것이다. 이 전략은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트랜잭션이 끝날 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종료한다. 즉, 같은 트랜잭션과 같은 영속성 컨텍스트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보통 트랜잭션은 service 계층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트랜잭션이 시작되는 데 .. 2023. 7. 26.
ArrayList는 어떻게 용량을 관리할까? 이번 방학기간에 Java의 자료구조에 대해서 심도있는 공부를 해볼 예정입니다. 그 첫번째는 ArrayList입니다. 먼저,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입니다. List : 인터페이스 동일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 데이터의 저장 순서가 유지된다 객체를 인덱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객체를 저장하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부여되고 인덱스로 객체를 검색, 삭제할 수 있다. 저장 방식은 해당하는 인덱스에 객체의 주소값을 참조하여 저장한다. List 인터페이스의 특징은 위와 같은 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List는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고, 저장 순서가 유지되어야할 때 사용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ArrayList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 아래는 ArrayLis.. 2023. 7. 24.
DTO에 대한 고민 저번 주에는 카카오 테크 캠퍼스 2단계 과제 수행을 기회로 평소 DTO에 관해 고민한 것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DTO는 Data Transfer Object 즉,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먼저, 첫 번째 고민이었습니다.과연 DTO를 사용하면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걸까요? 단일 호출 시 여러 매개변수를 일괄처리하여 네트워크의 오버헤드를 줄인다.직렬화의 캡슐화의 이점직렬화된 객체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캡술화하고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보안 기술 적용하기 좋다.객체를 직렬화함으로써 플랫폼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엔티티를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위의 DTO 이점 중 3번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1번과 2번 장점은 이번에 공부하며 처.. 2023. 7. 17.
728x90